한국어에서 ‘눈’은 동음이의어입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과 신체의 눈은 철자가 같은데요. 발음의 길이로 의미를 구분한다고 하는데 어렵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본어 早い와 速い 차이를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早い와 速い 차이
이 둘은 일단 발음이 같습니다. 早い와 速い은 모두 발음이 はやい(하야이)로 나거든요.
발음이 동일한데 상황에 따라서 쓰는 한자가 다른 겁니다.
먼저 早い는 ‘기준시간보다 빠르다‘라는 의미입니다. 예정보다 이르거나 아직 때가 이를 때 사용하는 단어가 되겠고요.
반면에 速い는 ‘행동이나 움직임이 빠르다‘는 의미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한자를 보면 훨씬 더 명확해집니다.
早 이를 조
速 빠를 속
중요한 것은 일본어로는 둘 다 발음이 같다는 거죠.
예문을 보면서 익혀보겠습니다.
예문
朝が早い
(아사가 하야이)
: 아침이 이르다.
어떠한 기준 시간보다 시간이 빠르다는 의미입니다.
まだ時間的に早いです
(마다 지칸테키니 하야이데스)
: 아직 시간적으로 이릅니다.
反応が速いですね
(한노오가 하야이데스네)
: 반응이 빠르네요.
여기서는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로 速い(하야이)를 씁니다.
彼は来るのが早い
(카레와 쿠루노가 하야이)
: 그는 오는 게 빠르다
‘하야이’를 여기에서는 ‘빠르다’로고 썼는데요.
학교에 등교를 한다고 할 때 일찍 오는 학생들이 있잖아요. 시간적으로 빨리 온다는 의미입니다. (움직임이 빠르다는 게 아니죠.)
문장에서는 한자가 보이니까 의미를 떠올릴 때 어려움이 없는데요.
문제는 문장으로 듣는 상황에서는 상황을 잘 보면서 유추를 해야 합니다. 처음에 제가 한국어의 ‘눈’을 예로 들었잖아요.
(예) 눈이 내린다.
여기서 ‘내리는 눈’은 하늘에서 오는 계절적인 눈이라고 다 생각을 하지, 신체적인 눈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 맥락을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다양한 문장을 갖고 연습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고요.
정리
早い와 速い 차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뜻 | 상황 | 한자 |
早い(하야이) | 빠르다 | 기준시점보다 이르다 | 早(이를 조) |
速い(하야이) | 빠르다 | 속도가 빠르다 | 速(빠를 속) |
다른 동음이의어 공부해보기 하나시테 뜻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