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종종 불상사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불상사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불상사 뜻 의미와 한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상사 뜻
사전적으로 불상사는 상서롭지 못한 일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상서롭지 못하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상서롭다는 것은 ‘복되고 운이 좋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반대되는 의미를 가지는 상서롭지 못하다는 것은 당연히 ‘좋지 않다’는 뜻이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불상사’라는 것은 한 마디로 ‘운이 좋지 않은 나쁜 일’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자를 보면 해당 단어의 의미가 더 명확하게 전달이 되는데요.
한자
불상사의 한자는 각각 不(아니 불) 祥(상서로울 상) 事(일 사)를 씁니다. 한자를 그대로 직역하면 상서롭지 못한 일이라고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 불상사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예시
최근에 와서 음주운전에 대한 인식이 매우 안 좋아졌습니다. 과거에는 너그러웠던 음주 운전에 대해서 지금은 다수의 국민들이 아주 안 좋은 범죄라고 인식하게 되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음주운전 적발 건수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어떤 20대 대학생이 아르바이트를 끝나고 인도를 건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인도로 돌진한 차량에 의해서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지요.
그 대학생 입장에서, 매우 운이 좋지 않은 나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르바이트를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던 그에게 불상사가 생겼다’라는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아주 좋지 않은 일을 당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입니다.
예문
– 나는 해외 여행을 갔다가 강도를 당하는 불상사를 겪었다.
– 전세사기 피해자가 목숨을 끊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 그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확실한 피해자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불상사가 반복되다.
– 불상사를 막다.
– 불상사를 당하다.
– 경찰은 만약의 불상사를 예방하기 위해 그녀에게 스마트워치를 지급했다.
–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 자신의 신세를 비관한 청년이 삶을 마감하였다.
불상사와 비슷한 말
① 변 (變)
갑자기 생긴 재앙이나 괴이한 일.
(예) 변을 당하다.
② 변고 (變故)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
(예) 변고가 생기다 / 변고를 당하다
③ 사고 (事故)
뜻밖에 일어난 불행한 일.
오늘은 평소에 여러분께서 신문이나 뉴스에서 자주 접해보았지만 정확한 의미를 몰랐던 불상사 뜻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세상은 넓고 희한한 사람이 너무 많으니 최대한 사람을 조심하시면 좋겠습니다. 사람만 잘 만나도 그러한 불상사는 안 겪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