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가우 마치가우 마치가에루 차이

한국어에서 다르다 틀리다를 구분합니다. 다른 것은 구별이고 틀리다는 것은 어떠한 판단이 들어가 있는 말인데요. 일본어에서도 치가우 마치가우라고 해서 비슷한 느낌의 단어가 존재하지요. 오늘은 치가우 마치가우 마치가에루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치가우 마치가우 마치가에루 차이

치가우 마치가우 마치가에루 차이

먼저 치가우(ちがう)는 ‘다르다’이고, 마치가우(まちがう)는 ‘틀리다’라는 뜻입니다. 정확히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치가우(ちがう) 뜻

다르다는 언제 사용하지요? 남자와 여자는 다른 존재입니다. 서로 구별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쓰는 게 ‘다르다’라는 뜻의 치가우입니다.

그리고 ‘아니다’라는 의미로도 사용이 됩니다.

이거 네가 훔쳤지?
아니야

내가 틀렸어?
아니.

여기서 ‘아니다’는 사실이 아니다라는 거죠. 어떠한 가치 판단을 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마치가우(まちがう) 뜻

어떠한 기준을 벗어나서 틀리다는 의미가 됩니다.

시험 문제를 풀 때 정답의 기준점은 다 정해져 있습니다. 그런데 정답이 틀리면 기준을 벗어나게 되는 겁니다.

이런 경우에 마치가우를 쓸 수가 있고요.

또한 마트에서 일을 하고 일일 정산을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정산을 하면 어떠한 금액이 맞아야 하잖아요.

그런데 그 기준을 벗어나서 맞지 않는 경우에도 ‘틀리다’라고 생각을 하고 마치가우라고 쓰게 됩니다.

즉, 기준점에서 벗어나는 것을 틀리다고 하는 표현입니다.

마치가에루(まちがえる) 뜻

마치가우와 거의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약간의 차이를 굳이 꼽자면 어떤 상황이 두 가지로 나뉘는 경우에 맞는 것을 벗어나면 틀린다는 뜻입니다.

정리

오늘 배워본 치가우 마치가우 마치가에루 차이를 다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치가우 
- 다르다 / 아니다 

마치가우
- 기준에서 벗어나 틀리다 

마치가에루 
- 두 가지의 상황에서 맞는 상황을 벗어나서 틀리다

여기에서 마치가우와 마치가에루는 크게 구분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 그냥 쓰셔도 될 것 같네요. 우린 원어민이 아니니까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