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로 남편을 가리키는 호칭

한국어에서도 배우자를 부르는 표현이 매우 다양합니다. ‘자기’, ‘여보’, ‘당신’ 등의 호칭이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일본어로 남편을 가리키는 호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어로 남편을 가리키는 호칭

일본어로 남편을 가리키는 호칭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남편을 가리키는 호칭은 한국어처럼 다양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옷토 (夫, おっと)

옷토와 카이샤인데스(夫は会社員です)
제 남편은 회사원입니다.

와타시노 옷토니낫테 아리가토네 (私の 夫になって ありがとうね)
내 남편이 되어줘서 고마워.

한자로 夫(아비 부)를 그대로 사용을 합니다. 히라가나는 ‘옷토’라고 읽습니다. 보편적인 표현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남편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쓸 수 있고, 부부 사이에서 부르는 호칭으로도 사용을 합니다.

2. 단나 (旦那, だんな)

단나가 카엣테키마시타(旦那が帰ってきました)
남편이 돌아왔습니다.

우치노단나가네(うちのだんながね)
우리 남편이 말이야

친구들 사이 등 자기 남편을 가리킬 때는 보통 ‘단나’를 많이 사용합니다. ‘우리 남편이 어쩌구 저쩌구~’할 때 보통 우치노단나(うちのだんな)라고 많이 하죠.

3. 슈진 (主人, しゅじん)

슈진와 카이가이 슈초우츄우데스 (主人は海外出張中です)
바깥양반은 해외 출장을 갔습니다.

한자를 보면 ‘주인(主人)’으로, 남편에 대한 높임말입니다. 일본의 봉건적 문화의 잔재가 남아 있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인’이라고 생각해서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고요. 실생활에서는 ‘바깥양반’과 같은 어감으로, 젊은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아나타(あなた)

원래는 ‘당신’이라는 뜻인데, 아내가 자신의 남편을 부를 때 ‘여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애니메이션에서 많이 들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5. 테이슈 (亭主, ていしゅ)

본래 가정을 이끄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공손한 표현이었지만 지금은 평범한 ‘남편’이라는 표현으로 내려온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격하되면서 자신의 남편을 부르는 경우에만 사용을 많이 합니다.

카레 (彼)

‘그이’라는 말인데요. 결혼하고 나서는 사용하지 않고, 남자친구와 사귈 때 타인에게 자기 남친 이야기를 할 때 사용합니다.

요즘 일본어로 남편을 가리킬 때 쓰는 말

과거에는 슈진 같은 것을 많이 썼을 텐데요. 젊은 사람들은 주로 ‘옷토(おっと)’, ‘단나(だんな)’를 많이 사용합니다. 굳이 비교를 하면 ‘단나’가 더 친근한 어감입니다. 친구들 사이에서 수다떨기에 좋은 ‘우치노단나’가 있죠.

정리

내가 남편을 부를 때
옷토, 단나, 아나타, 테이슈

카레는 결혼하기 전 남자친구를 지칭하는 말.

상대에게 내 남편을 가리킬 때
옷토, 단나, 슈진

가장 문난한 말은
옷토와 단나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