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일본어로 알아두면 좋은 표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멘도쿠사이 뜻과 멘도쿠세나 어감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멘도쿠사이 뜻
‘귀찮다’는 의미입니다. 애니에서도 들어볼 수가 있는 표현으로 상황이 매우 귀찮거나 번거롭게 느껴질 때 쓰는 말입니다.
슈쿠다이가 멘도쿠사이 (宿題がめんどくさい)
숙제가 귀찮다.
멘도쿠사이 히토토와 하나시타쿠나이(めんどくさい人とは話したくない)
귀찮은 사람과는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
키노오노 시고토와 멘도쿠사캇타(昨日の仕事はめんどくさかった)
어제 일은 귀찮았다
딱 문장이 ‘형용사’로 끝나는 경우에는 ‘귀찮다’가 되는데요. ‘귀찮은’으로 명사를 수식하려면 명사 앞에서 ‘원형’을 써주면 됩니다.
뒤에 ‘캇타’를 붙여서 ‘귀찮았다’를 의미하는 과거형이 되었습니다.
히라가나 한자
めんどうくさい (面倒臭い)
멘도쿠세나(めんどくせえな) 차이는?
멘도쿠사이(めんどうくさい)의 발음을 더 줄여서 멘도쿠세에(めんどくせえ)로 하기도 합니다. 우리한테는 ‘멘도쿠세’ ‘멘독세’로까지 들리는데요.
남성적이고 투박한 말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나’를 붙이면 조금은 더 부드러운 느낌의 말이 됩니다.
멘도쿠사이(めんどうくさい)
귀찮아
멘도쿠세(めんどくせえ)
귀찮다
멘도쿠세나(めんどくせえな)
귀찮네~
대충 이런 어감 차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멘도쿠세로 활용을 하게 되면 비격식적인 말이기 때문에 비즈니스 대화로는 부적합하여 친한 사람들하고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리
이번 글에서는 일본어 형용사 멘도쿠사이를 배워보았습니다. JLPT 어휘 중에 하나니까 다양하게 활용해서 자신의 것으로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