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이는 경상도에서 많이 들어볼 수 있는 말인데요. ‘대마이가 세다’ 등으로 표현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마이 뜻 어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마이 뜻
‘용기‘라는 의미입니다.
일단 표준어는 아니며, 경상도에서 사투리처럼 사용하고 있는 표현인데요.
보통 우리가 겁이 없이 악착같이 버티어 나오는 오기가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깡다구가 좋다’ 또는 ‘깡이 좋다’고 하죠.
보통 ‘대마이가 좋다‘고 하면 ‘깡다구가 좋다‘는 뜻입니다.
대마이
: 깡다구, 깡
예문
- 너는 왜 그렇게 대마이가 없냐?
- 우리 두한이 대마이가 좋다.
- 대마이 놓지 마라.
- 남자라면 대마이가 있으야지~
- 그 녀석이 대마이가 좀 세다
- 대마이가 쥑이네.
진짜로 용기가 대단한 사람에게 쓰기도 하지만, 봤을 때 무모하고 겁이 없어 보이는 사람에게도 사용을 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대마이’ 한국어 같지 않으실 겁니다.
그렇다면 대마이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대마이 사투리? 일본어?
썰은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대구 등 경상도에서 쓰는 사투리라는 썰이 하나가 있고요.
또 다르게 어원으로 추측되는 말이 일본어 ‘데마에(てまえ, 手前)’입니다. 명사로 쓰면 2인칭으로 상대를 가리키는 ‘너’ 또는 ‘저희’라고 할 때의 ‘저’라는 표현입니다.
데마에(てまえ, 手前) : 너 저
그런데 이것보다는 데마에 자체는 일본어로 ~手前(데마에) ‘~한 이상 (~할 수밖에 없다)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을 합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했을 때는 ‘데마에’를 일본어 어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요.
최대한 ‘역랑’이라는 뜻이면서 ‘대마이’랑 비슷한 발음의 단어를 찾아본 결과 그나마 우데마에(うでまえ, 腕前)가 있더군요.
우데마에(うでまえ, 腕前) : 솜씨, 역량, 기량
이거라면 조금이나마 가능성이 있는 대마이가 일본어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고 할 때, 가장 가능성이 있는 단어로 보입니다.
‘너 역량이 좋다’, ‘기량이 좋다’라는 표현을 ‘용기’나 ‘배포’로 확장시켜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정리
이번 글에서는 대마이 뜻 어원을 열심히 밝혀보았는데요. 현재 대마이는 ‘용기’, ‘배포’, ‘담력’이라는 의미로 경상도에서 사용을 하는 사투리인데요.
일단 일본어 ‘데마에’는 어원으로 보기가 어려울 것 같고, 제가 일본어를 오래 공부했기 때문에 가장 유사한 어원이라고 하면 ‘우데마에’ 정도일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본어냐 사투리냐를 놓고 보았을 때 오히려 지역 방언에 가깝지 않나 생각합니다.
기마이 뜻 어원은?